3FS

    TIL] 2022/08/09

    TIL] 2022/08/09

    Fact (사실) 함수형 코딩을 읽으며 연습 문제를 스터디를 같이하는 분과 함께 풀어보고 프로젝트의 이번 주 목표를 정하고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한 후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 CS 공부를 진행하였습니다. Feeling (느낌) 프로젝트(포트폴리오) 로직 변경 시간을 선택했을 때, 로딩이 되는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생각해보면 처음 클릭했을 때 remainTime을 설정하면 되는 간단한 부분이었는데 처음 설계할 때 생각하지 못한 것에 부끄러움을 느꼈습니다! 타입 정의 타입을 제대로 정의하지 않은 부분에 타입을 정의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어려운 작업은 아니었지만 타입을 더욱 상세하게 작성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는 타입을 정의하고 코드를 작성할 것입니다! presenter and con..

    TIL] 2022/08/08

    TIL] 2022/08/08

    Fact (사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함수형 코딩을 읽고 CS 공부를 진행하였습니다. Feeling (느낌) 프로젝트(포트폴리오) 오늘은 기존의 코드 부분에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고 코드를 리팩토링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에서 지향하고 있는 디자인 패턴은 Container Presenter 패턴인데 이 부분을 지키지 못했습니다. 기능을 담당하는 로직을 Page에 넣고 Container에선 props로 기능을 담당하는 로직을 받아 처리를 하였는데 기능을 담당하는 로직들을 container로 옮기면서 테스트가 깨지는 것들을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러고 코드를 리팩토링 한 후, Container-Presenter 패턴에 대해 찾아보았는데 Container-Presenter 패턴의 장점..

    TIL] 2022/08/07

    TIL] 2022/08/07

    Fact (사실) 함수형 코딩을 읽었습니다. Feeling (느낌) 함수형 코딩 함수형 코딩을 읽으며 배열을 복사 후 복사한 값을 변경 후 리턴하는 방법은 알았지만 객체는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을 때쯤 객체를 복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제가 평소에 사용하지 않던 방식이라 생소했지만 새로운 것을 배우는 느낌이라 좋았습니다! 함수형 코딩을 완독 하면 함수형 코딩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며 블로그에 포스팅을 진행하며 정리를 할 생각입니다! Finding (교훈) "컨디션 조절" 오늘은 개인적인 일정이 있어 공부를 평소처럼 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오랜만에 친구를 만났고 이 시간을 통해 재충전을 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오늘 에너지를 충전한 만큼 앞으로 열심히 달릴 예정입니다!

    TIL]2022/08/06

    TIL]2022/08/06

    Fact (사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함수형 코딩을 읽었습니다. Feeling (느낌) 프로젝트(포트폴리오) 화면에 시간이 보이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작업을 진행하며 현재 시간을 구하는 부분과 작업시간을 정하는 함수가 분리가 필요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분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이유는 현재 시간을 구하는 부분이 변수화 되어있었고 함수화하는게 가독성 측면에서 더 좋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업시간을 정하는 함수의 경우엔 전역 변수를 사용하였었는데 이 부분에 있어서 버튼을 눌렀을 때 인자로 원하는 시간을 넘기는 게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함수로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함수를 분리하고 나니 뭔가 속이 후련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또한, 새로 생성한 페이지와 새로 생성한 유틸 함수에 대한 테스..

    TIL]2022/08/05

    TIL]2022/08/05

    Fact (사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함수형 코딩을 읽었습니다. Feeling (느낌) 프로젝트(포트폴리오) 구현 오늘은 타이머를 구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예전에 구현했던 타이머 부분은 가독성 측면에서 너무 좋지 못하였고 (중첩 if - else문) 리덕스를 통해 새롭게 코드를 설계했습니다! 리덕스를 통해서 새롭게 코드를 설계하면서 기존에 했던 방식이 아니어서 어려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우선 지정된 시간(endTime)과 현재 시간을 정하는 부분부터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new Date().getTime() Date 객체의 getTime을 사용하여 timeStamp를 구하였는데 큰 숫자에 지레 겁먹고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지정된 시간을 정하는 부분은 현재 ti..

    TIL]2022/08/04

    TIL]2022/08/04

    Fact (사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함수형 코딩을 읽었습니다. Feeling (느낌) 프로젝트(포트폴리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냥 기능이 동작하는 프로젝트가 아닌 좋은 코드를 작성하고 싶어서 고민하는 시간이 많은 것 같습니다!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안 좋은 습관들이 나올 때가 있는데 안 좋은 습관들이 나오면 그 부분을 바로 잡으려고 노력하면서 조금씩 습관들이 개선되는 느낌이 들어 좋았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부분들이 있지만 나아지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 좋았습니다! 함수형 코딩 오늘은 함수형 코딩을 많이 읽지 못해서 아쉬운 부분이 있었지만 함수형 코딩 책 자체가 재미있어서 잘 읽히는 것 같습니다! 그러고 함수형 코딩 책 자체가 어려운 부분을 쉽게 풀어서 설..

    TIL] 2022/08/03

    TIL] 2022/08/03

    Fact (사실) 함수형 코딩을 읽고 프로젝트 세팅을 한 후 배포를 진행했습니다. Feeling (느낌) 프로젝트(포트폴리오) 프로젝트의 주제가 정해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선 TDD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어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해 테스트를 실패하고 테스트를 통과하는 형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하기에 어려운 게 우선 배포를 먼저 진행한 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어서 간단한 렌더링 테스트만 통과 후 배포를 진행하였습니다. 항상 배포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처음부터 배포를 안 하고 어느 정도 구현을 한 후 배포를 하려 했는데 같이 공부하시는 분께서 우선 배포를 먼저 진행하고 계속 진행상황을 업데이트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의견에 공감하여 배포..

    TIL] 2022/08/02

    TIL] 2022/08/02

    Fact (사실) 포트폴리오 주제를 정하고 함수형 코딩을 읽은 후 클린 코드를 읽었습니다. Feeling (느낌) 포트폴리오 주제 이번 포트폴리오의 주제는 뽀모도로 타이머입니다! 코드숨을 통해 뽀모도로가 주는 장점을 확실하게 체감할 수 있었고 뽀모도로를 사용하면서 아쉬웠던 부분들을 보완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포트폴리오 계획 및 기능 우선순위 프로젝트 주제를 정한 후 프로젝트 계획을 세우는데 윤석님께서 주신 피드백에 따라 프로젝트 계획을 세우니 처음에 프로젝트 계획을 세울 때 너무 추상적으로 계획을 세운 게 느껴졌고 피드백을 통해 계획을 구체적으로 정하니 확실하게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면 해야 할 일이 명확하게 보이는 것과 구현을 할 때 확실하게 어떤 것을 해야 할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IL] 2022/08/01

    TIL] 2022/08/01

    Fact (사실) 포트폴리오를 어떤 것을 할지 찾아보고 함수형 코딩 및 클린 코드를 읽었습니다. Feeling (느낌) 포트폴리오 구상 항상 포트폴리오의 주제를 정하는 것은 어려운 것 같습니다. 지금 포트폴리오를 어떤걸 해야 할지는 아직 정하지 못했지만 코드숨 과정을 진행하면서 테스트 코드를 필수적으로 포트폴리오에 넣고 코드를 작성할 때, 코드숨에서 배운 좋은 코드 작성법을 포트폴리오에 녹여 좋은 코드를 남길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오늘 윤석님과 면담을 한 후 든 생각은 나에게 필요한 것을 만들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함수형 코딩 포모도로를 통해 함수형 코딩을 읽었는데 책을 읽다가 중요한 내용인 것 같은 놓치고 싶지 않은 내용들은 작은 질문들을 남겨놓고 제가 대답..

    TIL] 2022/07/31

    TIL] 2022/07/31

    Fact (사실) CS(운영체제)를 공부 후 함수형 코딩을 읽었습니다. Feeling (느낌) 오늘은 CS(운영체제)를 한번 훑는 것을 완료하였습니다! 추가적인 공부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운영체제를 공부하면서 어려운 부분이 많아 추가적인 학습이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함수형 코딩을 읽었는데 책 자체의 설명이 너무 재미있게 나와있고 이해가 될 수 있게끔 예시를 들어서 재미있었습니다! Finding (교훈) "포모도로를 활용하자!" 오늘은 포모도로를 통한 학습을 진행하였는데 포모도로 타이머가 있음에도 잘 활용을 하지 못했는데 오늘 포모도로 학습을 진행하며 포모도로의 진가를 느낀 것 같습니다! 확실히 그냥 공부했을 때보다 집중이 더 잘되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