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Learned

    TIL] 2021/07/29

    오늘의 공부 오늘은 자바스크립트 기초에 대한 강의를 메인으로 공부를 하였습니다. 또한 자바스크립트 문법과 친숙해지기 위해 자바스크립트로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로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 확실히 쉬운 문제도 접근이 아직 힘든 것 같습니다. 문법이 우선 익숙하지 않고 파이썬에서 풀던 습관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자바스크립트와 얼른 친해져서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문법 때문에 접근이 힘든 경우가 없게끔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전부터 저녁까지는 자바스크립트 기초에 대한 강의를 듣고 (전체 복습하였습니다!) 원래는 하루에 한 키워드씩 모던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운 내용들을 TIL과 함께 정리하였지만 진도가 너무 느리게 나가서 이 방법은 비효율적인 것 같아 TIL은 앞으로 오늘 공부한 내용들을 정..

    TIL] 알고리즘 공부

    오늘의 알고리즘 공부 오늘은 백준 사이트의 알고리즘 문제를 풀지 않고 프로그래머스의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습니다! 백준 사이트의 알고리즘 문제는 난이도가 지금은 제가 풀기에 역부족이었고 문제를 풀다가 막히기 일쑤였고 막히고 해설을 보고 해설을 해석하는 것도 물론 도움은 되지만 한계가 있는 것 같고 그렇게 해설을 해석한 문제들을 다시 풀려고 접근했을 때 그때도 어려움이 있었기에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풀이를 진행하였습니다. 프로그래머스 level 1을 선택한 이유는 만약 문제의 난이도가 매우 어려움 -> 중간 -> 쉬움 순서가 있다면 프로그래머스 level 1 난이도는 저에게 중간 정도 난이도와 쉬움 정도의 난이도가 섞여있기 때문입니다! 확실히 처음에는 제 기준 중간정도의 문제를 풀었을 때 접근하는 법이 쉽지 ..

    TIL] 자바 기초(3)

    상수의 데이터 타입 변수는 변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하고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nt a = 1; 에서 int는 데이터 타입 a는 변수이고 1은 상수인 것이다. 산술 연술자 산술 연술자는 크게 다섯 가지가 존재한다.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몫 % = 나머지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살펴보자. // result의 값은 2 int result = 1 + 1; System.out.println(result); // result의 값은 1 result = result - 1; System.out.println(result); //result의 값은 2 result = result * 2; System.out.println(result); // result의 값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