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TIL] 원시 값

    데이터 타입 자바스크립트가 제공하는 데이터 타입은 크게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크게 세 가지가 다릅니다!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지만 객체(참조)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입니다.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실제 값이 저장되지만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이 저장됩니다.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됩니다.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됩니다. 이를 값에 의한 전달이라 합니다. 이에 비해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

    TIL] 프로퍼티 (3)

    프로퍼티의 축약 표현 객체 리터럴의 프로퍼티는 키와 프로퍼티 값으로 구도입니다. 프로퍼티 값은 변수에 할당된 값, 즉 식별자 표현식일 수 있습니다! var x = 1, y = 2; var obj = { x: x, y: y }; console.log(obj); ES6에서는 프로퍼티 값으로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변수 이름과 프로퍼티 키가 동일한 이름일 때 프로퍼티 키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때 프로퍼티 키는 변수 이름으로 자동 생성됩니다. let x = 1, y = 2; //프로퍼티 축약 표현 const obj = { x, y }; console.log(obj); // {x: 1, y: 2}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 문자열 또는 문자열로 타입 변환할 수 있는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을 사용해 프로퍼티 키를 동적..

    TIL ] 프로퍼티 (2)

    프로퍼티 값 경신 이미 존재하는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하면 프로퍼티 값은 경신됩니다. 프로퍼티 동적 생성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하면 프로퍼티가 동적으로 생성되어 추가되고 프로퍼티 값이 할당됩니다. var person= { name : 'Nerd' }; preson.age = 28; console.log(person) // {name : "Nerd", age : 28} 프로퍼티 삭제 delete 연산자는 객체의 프로퍼티를 삭제한다. 이때 delete 연산자의 피연산자는 프로퍼티 값에 접근할 수 있는 표현식 이어야 한다. 만약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를 삭제하면 에러 없이 무시된다. var person = { name: 'Nerd' }; person.age = 20; delete.person.age..

    TIL] 프로퍼티 접근

    프로퍼티 접근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마침표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를 사용하는 마침법 표기법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를 사용하는 대괄호 표기법 프로퍼티 키가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준수하는 이름이면 마침표 표기법과 대괄호 표기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침표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 또는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의 좌측에는 객체로 평가되는 표현식을 기술합니다. 마침표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의 우측 또는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의 내부에는 프로퍼티 키를 지정합니다. var person = { name: 'Nerd' }; consol.log(person.name); // Nerd consol.log(person['name']); // Nerd 대괄호 표기법을..

    TIL] 메서드

    메서드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객체입니다. 함수는 값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때,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라 부릅니다. 즉 메서드는 객체에 묶여있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오늘은 벨로그 클론코딩의 뷰의 뼈대를 어느정도 잡았습니다. 확실히 클론코딩을 하면서 css적인 요소들을 많이 알게되고 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클론코딩을 하면서 자바스크립트 학습에 대한 시간이 많지는 않지만 전에 포스팅했듯이 시간이 아무리 없더라도 하루에 한 키워드씩 정리하는 것은 지킬 예정이고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학습시간이 정말 많이 필요한 것 같지만 현재는 협업을 하..

    TIL] 프로퍼티

    프로퍼티 객체는 프로퍼티의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됩니다. var person = { name: 'Nerd', //프로퍼티 키는 name, 프로퍼티 값은 'Nerd' age : 28 //프로퍼티 키는 age, 프로퍼티 값은 20 }; 프로퍼티를 나열할 때는 쉼표로 구분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지막 프로퍼티 뒤에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으나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프로퍼티 키와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로퍼티 키 : 빈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문자열 또는 심벌 값 프로퍼티 값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 프로퍼티 키는 프로퍼티 값에 접근할 수 있는 이름으로서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이미 존재하는 프로퍼티 키를 중복 선언하면 나중에 선언한 프로퍼티가 먼저..

    TIL] 객체

    객체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으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은 객체입니다. 원시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은 모두 객체입니다. 원시 타입은 단 하나의 값만 나타내지만 객체 타입은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입니다. 원시 값 변경이 불가능한 값이지만 객체 타입의 값은 변경이 가능합니다.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됩니다. 함수도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라 부릅니다. 프러퍼티와 메서드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러퍼티 :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data) 메서드: 프러퍼티(상태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 이처럼 ..

    TIL] 타입변환과 단축 평가

    타입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타입이 있습니다. 값의 타입은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이라 합니다.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자바스크립테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되기도 하는데 이를 암묵적 타입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이라고 합니다. 명시적 타입 변환이나 암묵적 타입 변환이 기존 원시 값을 직접 변경하는 것은 아닙니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타입 변환이란 기존 원시 값을 사용하여 다른 타입의 새로운 원시 값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암묵적 타입 변환은 기존 변수값을 재할당하여 변경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바스크립트 엔..

    TIL] 제어문

    제어문 제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조건문)하거나 반복 실행(반복문)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코드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되는데 제어문을 사용하면 코드의 실행 흐름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블록 문{} 은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으로, 코드 블록 또는 블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블록 문을 하나의 실행 단위로 취급한다. 블록 문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어문이나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블록문은 자체 종결 성을 갖기 때문에 블록 문의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조건문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코드블록(블록문)의 실행을 결정한다. 조건식은 불리언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

    TIL] 연산자

    연산자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듭니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라고 하고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합니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듭니다.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합니다. 이항 산술 연산자 이항 산술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하여 숫자 값을 만듭니다. 2+2 // 4 2-2 // 0 2*2 // 4 2/2 // 1 2%2 // 0 단항 산술 연산자 단항 산술 연산자는 1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듭니다. ++(증가) --(감소) +(어떠한 효과도 없습니다) -(양수를 음수로, 음수를 양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