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과 css

TIL] Math

Nerd 2021. 4. 20. 16:28

Math.abs()

절댓값이 필요할 때 전달받은 인수의 절댓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이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Math.abs(-7);
-> 결과값 : 7

Math.abs(7);
-> 결과값 : 7

Math.abs(7.89);
-> 결과값 : 7.89

Math.abs(-7.89);
-> 결과값 : 7.89

위의 코드를 보면 절댓값을 반환하기 때문에 음수를 넣어도 절댓값이 나오게 된다.

절댓값이 필요할 때 간단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Math.max()

전달받은 값 중 가장 큰 수를 반환한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Math.max(1, 2, 3, 4, 1203, 0);
-> 결과값 : 1203

Math.max(1, 2, 3, 4, 1203, "text");
-> 결과값 : NaN

위의 코드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숫자만 받을 수 있고

가장 큰 숫자를 나타내 준다.


Math.min()

전달받은 값 중 가장 작은 수를 반환한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Math.min(1, 2, 3, 4, 1203, 0, -2323);
-> 결과값 : -2323

Math.min(1, 2, 3, 4, 1203, -2323, "text");
-> 결과값 : NaN

위의 코드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숫자만 받을 수 있고

가장 작은 숫자를 나타내 준다.


Math.round()

전달받은 값을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준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Math.round(1.24);
-> 결과값 : 1

Math.round(1.58);
-> 결과값 : 2

Math.round(1);
-> 결과값 : 1

Math.round(0.55);
-> 결과값 : 1

Math.round("text");
-> 결과값 : NaN

위의 코드를 보면 반올림해 주는 것을 볼 수 있고

숫자만 받을 수 있다.


Math.floor()

소수점 이하를 버린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Math.floor(2.45);
-> 결과값 : 2

Math.floor(3.56);
-> 결과값 : 3

Math.floor(6.29329349);
-> 결과값 : 6

위의 코드를 살펴보면 소수점 이하를 날려버리는 걸 볼 수 있다.


Math.ceil()

소수점 이하를 올림 한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Math.ceil(2.54);
-> 결과값 : 3

Math.ceil(2);
-> 결과값 : 2

Math.ceil(3.54);
-> 결과값 : 3

위의 코드를 살펴보면 소수점을 올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Math는 Json을 활용해 데이터 값을 받아오거나

계산이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 같다.

오늘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온을 받아올 때 소수점이 필요 없어 활용했다.

너무나 편리했고 깔끔하게 기온이 나와서 기분이 좋았다.

무언갈 배우고 활용하는 것은 즐거운 것 같다!